인텔리J에서 톰캣 실행시 아래와 같은 한글 깨짐이 발생한다.

여러가지 몇가지 시도를 해봤으나 해결이 안되었고 그저 영어로 출력하도록 변경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깨짐 문제를 해결하였다.

방법은 아래 코드를 아래와 같이 VM option에 추가해주면 된다.

-Duser.language=en -Duser.region=US

이후 이전과 같은 엄청난 깨짐은 없으나 한글 폴더의 깨짐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므로 감수해야 할 것 같다.

'[웹셋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셋팅] 제이쿼리 연결  (0) 2020.01.31
[웹셋팅] jstl 셋팅  (0) 2020.01.29
[웹셋팅] MyBatis.xml 기본 셋팅  (0) 2019.12.20
[웹셋팅] properties 양식  (0) 2019.12.20
[웹셋팅] dependencies(프로젝트 셋팅)  (0) 2019.12.19

Eclipse에서는 sysout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인텔리J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인텔리J에서는 sout 입력 후 tab 또는 so 입력 후 tab으로 자동완성할 수 있다.

인텔리J에서 interface를 만들려고하였으나 목록에서 확인이 안되어 당혹스러웠다.

그러나 만드는 방법이 있으니 아래를 참고하도록 하자.

우선 interface를 만들고자 하는 package에 mouse를 우클릭한다.

new > java class를 선택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올 것이다.

이중 interface를 선택해주면된다.

인텔리j도 이클립스와 같은 라인 정렬이 있다.

그런데, 일부 라인 정렬이 되지 않아 기재하려고한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 보기만해도 너무 길고 뒤죽박죽으로보기가 좋지않다.

여기서 우리가 해야 하는 기능은 두가지다.

 

1. import 코드 정렬(Ctrl+Alt+O)

2. line 코드 정렬(Ctrl+Alt+L)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import 코드를 정렬한다고 line 코드가 정렬되지않고

또한 line 코드 정렬은 한다고해서 import 코드가 정렬되지않는다.

그럼 두가지 각각 시도해보도록하겠다.

1. import 코드 정렬(Ctrl+Alt+O)

보이는가 import는 정렬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line은 정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line 코드 정렬(Ctrl+Alt+L)

line 코드 정렬 이후에 이제야 깔끔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두가지의 기능이 다르니 이 점 참고하여 사용을 해야겠다.

Working tree : 버전으로 저장되기 전 단계

Staging Area : Working tree에서 파일을 올리는 곳 여기서 Repository로 올린다.

Repository : 버전이 저장되는 곳

 

Working tree에서 파일을 10개 만들었다고 친다

이중 2개를 버전으로 만들길 원할 경우 2개를 Staging Area로 올린다.

이 후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 2개를 버전으로 만들길 원하면 Staging Area있는 파일 2개를 Repository로 올려서 버전을 만들 수 있다.

 

작업 영역Working tree(add 실행) > 준비 영역 Staging Area(commit 실행) > 저장소 Repositorty(push 실행) > Remote Repository

 

 

 

+ Recent posts